"두 개의 눈 2025"

- 크레이티브 디렉터(연출 및 비주얼 감독)

- 무대디자인

- 모션 그래픽

- 그래픽디자인

2025. 3.21.(금) – 3.22.(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극장1

------------------------------

"The Two Eyes 2025"

- Creative Director (Director & Visual Director)

- Stage Design

- Motion Graphics

- Graphic Design

March 21 (Fri) – March 22 (Sat), 2025
National Museum of Asian Culture, Art Theater 1


Photo by STILLM45

https://www.acc.go.kr

무대디자인 콘셉트

‘생’과 ‘사’의 보더라인 – 심청, 경계에 서다

무대는 상하로 분리된 구조로, 위쪽은 현실의 세계(생), **아래는 사후의 세계(사)**를 상징합니다.
가운데에는 **넓고 깊은 LED 바다(인당수)**가 펼쳐지며, 그 위에 심청이 홀로 서 있습니다.

심청의 존재는 생과 사의 극단적인 대비 위에 위치하며,
무대 전체는 경계에 선 인간의 운명성과 선택의 서사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Stage Design Concept

The Borderline Between Life and Death – Shim Cheong at the Threshold

The stage is vertically divided to symbolize two realms:
the upper level represents the living world, while the lower level evokes the afterlife.

At the center, a vast LED ocean (Indangsu) stretches across the stage, with Shim Cheong standing alone upon it.

This spatial composition emphasizes a stark contrast between life and death, placing the character precariously at the edge of both worlds.
The stage becomes a metaphorical landscape of fate, sacrifice, and transcendence.

조명디자인

빛으로 서사를 짓다 – 길, 경계, 제의의 이미지

이번 조명디자인은 심청과 심봉사가 걸어온 여정과 그 배경을 빛으로 형상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조명은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상징적 통로로 기능하며, 공간의 깊이와 감정의 밀도를 함께 구성합니다.

특히 대목 **‘소맹이 아뢰리다’**에서는 키네틱 조명 장치를 활용하여, 심청이 초대한 맹인 손님들을 형상화하였습니다.
이 장치는 동시에 LED 바닥 위에 펼쳐진 인당수로 뛰어드는 제물들의 이미지로도 작용하여, 다층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전통적인 조명 연출 방식에서 벗어나, 과도한 동적 움직임 대신 반복성과 밀도를 활용한 새로운 빛의 리듬을 시도하였습니다.

조명디자인: 홍찬혁, 박준형

Lighting Design

Composing the Narrative with Light – Pathways, Thresholds, and Ritual Imagery

The lighting design focuses on visually tracing the journey of Shim Cheong and her father Sim Bong-sa, using light to evoke both physical landscapes and emotional depth.
Light serves as a symbolic bridge between the worlds of the living and the dead, guiding the narrative flow across the stage.

In the key scene "The Blind Speak to the King", kinetic lighting fixtures represent the invited blind guests of Shim Cheong.
At the same time, these moving lights evoke the image of sacrificial figures plunging into the sea (Indangsu), assuming the LED floor as its surface—creating a layered, symbolic interpretation.

Breaking away from conventional dynamic lighting techniques, the design instead explores repetition and density as a new rhythm of light, establishing a solemn and immersive atmosphere.

Lighting Designers: Chan-hyuk Hong, Jun-hyung Park

라이브 비쥬얼 디자인

인당수, 그 초현실적 경계 – 바닥 LED를 통한 서사적 몰입

‘두 개의 눈’, 그리고 ‘심청가’를 상징하는 **인당수(人堂水)**를 가로 12m × 세로 24m 규모의 대형 바닥 LED를 통해 구현하였습니다.
LED 바닥은 단순한 배경을 넘어서, 바다와 길, 그리고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끊임없이 흐르는 초현실적 서사의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생과 사,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의 주제를 시각적으로 확장시키는 장치로 작동하며, 관객에게 몰입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Live Visual Design

Indangsu as a Surreal Threshold – Immersive Storytelling Through LED Floor

The symbolic sea of Indangsu, representing both The Tale of Sim Cheong and the work Two Eyes, was visualized through a massive floor LED installation (12m × 24m).
This LED surface became more than just a background—it was transformed into a surreal narrative space where oceanic textures, pathways, and kinetic typography continuously flowed.

The visual design extended the thematic contrast between life and death, reality and illusion, offering the audience an immersive, sensory-rich experience that deepened their connection to the performance.

나레이션 정인기

Next
Next

다시락페스티벌 2025 Festival Design